[글 엔다이브 이재혁 대표] 재사용 ESS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설계 효율보다 안전성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 “이 배터리를 믿고 써도 되는가?”라는 근본적인 신뢰가 형성돼야 한다.
사용후배터리는 제조사도, 운행 이력도, 열화 정도도 제각각이기에 같은 정격이라도 안전성이 균일하지 않다. 따라서 재사용 ESS 시장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효율 및 경제성 확보에 앞서 ‘안전성’이라는 공통 분모를 확보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2023년 10월 19일부로 전기용품안전법 체계 내 재사용전지 안전성 검사제도가 시행됐다. 국가기술표준원은 KC10031 해설서와 안전성검사기관 가이드북을 배포해 현장 적용을 지원하고 있다. 검사기관 지정 현황을 공개하여 제조·운영 주체가 제도를 기반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했다.
이에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제도의 취지와 검사기관의 역할, 검사 절차, 그리고 안전성 검증을 거친 배터리의 활용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왜 ‘안전성’이 먼저일까?
제조사, 사용 이력, 환경 스트레스가 서로 다른 사용후배터리는 같은 정격이라도 내부저항·열화 정도·보호회로 상태가 상이할 수밖에 없다. 즉, 재사용 ESS는 ‘동일한 배터리’가 아닌, ‘별개의 배터리’를 다루는 일이며, 이를 공정하게 판별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법정 기준에 따른 최소 안전 요구사항의 검증이 신뢰 가능한 재사용의 출발점이 된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제도 시행과 함께 해설서와 검사기관 지정 현황을 공개해 제조·운영 주체가 준거할 수 있도록 했다.
KC10031과 안전성검사기관의 필요성
KC10031은 ‘사용후전지의 재사용을 위한 리튬이차전지 안전 요구사항’으로, 재사용전지의 기본 안전, 표시, 문서화, 시험 항목을 규정한다.
제도 운영을 위해 안전성검사기관이 지정되며, 제조 및 운영 주체는 지정 기관을 통해 사전 확인–시험–표시–성적서 발급을 진행한다. 이는 현장 안전성 확보뿐만 아니라 책임 추적성, 보험·금융(뱅커빌리티), 조달·거래 표준화의 기반이 된다.
검사 절차(실무 플로우)
①신청·접수 → ②서류 검토·표시 견본 확인 → ③시료 채취·시험 계획 → ④안전성 시험(전기·기계·환경·보호회로) → ⑤성적서 발행·표시 부착 → ⑥사후 관리(변경·라벨·문서 유지)
세부 시험 항목과 한계값, 표시는 해설서/가이드북 원문을 따른다.
안전성 검증 후 활용 방안
KC10031 적합 판정을 획득한 배터리는 △버퍼형 EV 충전 허브(피크 흡수·대기열 안정화) △시설 피크 저감/예비전원 △캠퍼스/마이크로그리드 BESS △임대형/모듈형 전원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각 활용처에서는 표시·문서화 유지, 변경 관리, 정기 점검이 필수다.
재사용전지 안전성 검사기관 ‘엔다이브’
엔다이브는 재사용전지 안전성 검사기관으로 지정됐다. 전국 단위로 사용후배터리를 매입·신속 진단한 뒤 재사용 대상은 ESS로, 재활용 대상은 고품위 블랙매스로 전환하는 연계형 가치사슬을 운영하고 있다.
검사기관 자격을 기반으로 현장 안전성과 자산 가치를 동시에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검사–재사용–재활용의 선순환을 구축하고 있다. 제도 기반의 신뢰와 기술 기반의 효율을 함께 제시하는 파트너로서, 재사용 ESS 시장의 기준을 만들어가고 있다.






